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가짜 건강 메시지와 진짜 건강 메시지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의 48%만이 정확한 건강 메시지(편집적 요소가 없는 것)를 가짜보다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1%는 거짓과 진실한 중립적 메시지를 똑같이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고, 11%는 진실한 중립적 건강 메시지를 거짓 건강 메시지보다 덜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 결과는 가짜 건강 뉴스가 만연한 세상을 헤쳐나가기 위해 청소년들을 더 잘 훈련시켜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소셜 미디어에서 가짜 건강 뉴스의 확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 오보와 허위 정보는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온라인 건강 메시지는 대부분 불완전하고 부정확하며 잠재적으로 유해한 건강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짜 건강 뉴스는 잘못된 건강 선택, 위험 감수 행동, 보건 당국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코메니우스 대학의 연구 책임자인 라도미르 마살릭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건강 분야에서 잘못된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메시지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돼 왔다. 마살릭 박사팀은 이번에 10대 청소년들이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가짜 건강 뉴스를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조사했다. “청소년들은 인터넷을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보통 인터넷 정보에 접근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반대인 것 같다”고 마살릭 박사는 말했다.
청소년과 미디어
청소년은 종종 간과되기 쉬운 그룹으로, 가짜 건강 뉴스를 접할 위험이 높다. 소위 “디지털 네이티브”인 청소년은 전 세계 청소년의 71%가 인터넷을 사용하며, 세계에서 가장 인터넷에 연결된 그룹이다. 연구에 따르면, 흡연과 음주 등 미디어에서 위험 행동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면 청소년의 위험 행동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면, 전문가가 제공하는 정보를 뒷받침하는 온라인 건강 정보는 건강한 생활습관 변화, 자기관리, 치료 순응으로 이어진다. 청소년들은 온라인 정보를 평가할 때 웹사이트의 언어와 외관 등 구조적 특징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권위 있는 조직,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비즈니스와 같은 어투를 사용하는 웹사이트는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메시지 신뢰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인지된 메시지의 신뢰도를 추론하는 5가지 편집 요소를 확인했다. 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Masaryk 등은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건강 온라인 메시지의 내용과 형식을 조작하는 것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계획했다. 300명의 중학생(16~19세)에게 다양한 과일과 채소의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7가지 짧은 메시지를 제시했다. 메시지는 가짜 메시지, 중립적인 진실 메시지, 편집적 요소(최상급 표현, 클릭 베이트, 문법 오류, 권위 어필, 굵은 글씨체)를 포함한 진실 메시지 등 다양한 수준으로 구성됐다. 그 후, 참가자들은 메시지의 신뢰도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았다. 참가자들은 노골적으로 거짓된 건강 메시지와 진실이거나 편집 요소를 추가해 약간 변형된 건강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참가자의 41%는 가짜 메시지와 진실한 중립적 메시지를 동등하게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11%는 진실한 중립적 건강 메시지가 가짜 건강 메시지보다 더 신뢰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클릭 베이트가 작동할 가능성은 낮다
마살릭은 “메시지에 대한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가짜 콘텐츠와 진실한 콘텐츠를 구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럴듯하고 합리적으로 보이는 건강 메시지의 경우, 청소년들은 진정으로 중립적인 건강 메시지와 편집적 요소가 있는 건강 메시지를 구분하지 못했다. 청소년들은 편집을 단서로 메시지의 신뢰성을 판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진정한 건강 메시지에 비해 신뢰도가 현저하게 낮은 유일한 건강 메시지는 클릭 베이트 제목을 가진 메시지였다”고 마사리크는 말했다. 이 결과는 정보의 질을 판단할 수 있는 편집 단서를 찾기 위해 청소년들에게 더 나은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들은 건강 문해력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그리고 분석적 사고와 과학적 추론과 같은 기술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분석적 사고와 과학적 추론은 잘못된 건강 메시지와 진실한 건강 메시지를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라고 마살릭은 결론을 내렸다.
청소년 실험 결과의 해석
청소년들은 다른 정보원(의사, 부모, 친구 등)을 이용하는 것 외에도 온라인에서 건강 정보를 검색하지만, 그들이 어떤 온라인 정보를 신뢰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특히 요즘은 가짜 뉴스뿐만 아니라 불충분하고 의심스럽고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뉴스가 넘쳐나기 때문에 온라인 건강 메시지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과 지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의 단점을 피하고 신뢰도 자체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얻기 위해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건강 온라인 메시지의 내용과 형식 조작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 표본의 청소년들은 가짜 건강 메시지와 진실이든 편집 요소로 약간 변형된 건강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진위 척도가 정반대인 메시지(거짓과 진실)를 구분하는 능력에 대한 이 결과는 좀 더 복잡하다. 우리는 노골적인 가짜 건강 메시지와 진짜 건강 메시지를 구분하는 민감도를 조사했다. 이 민감도는 가짜 건강 메시지와 진짜 건강 메시지의 신뢰도 점수를 뺀 값으로 계산했다. 평균값은 0에 가까운 낮은 수준이었다(M = 0.73, SD = 1.35). 보다 심층적인 빈도 분석 결과, 참가자의 48%는 가짜 건강 메시지보다 진실한 중립적 건강 메시지를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1%의 참가자는 가짜 메시지와 진정한 중립적 메시지를 똑같이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11%의 참가자는 진정한 중립적 건강 메시지를 가짜 건강 메시지보다 더 신뢰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